반응형
완전 초보자가 바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예시·실습·팁·실수 방지 가이드까지 넣겠습니다.

🎬 Adobe Premiere Pro 2025 한글 매뉴얼 (완전 초보자용 · 2배 확장판)
1. 프로그램 시작하기
- 설치 후 실행
Premiere Pro 2025를 실행하면 시작화면이 뜹니다.
여기서 [새 프로젝트] 버튼을 클릭합니다. - 새 프로젝트 설정
- 프로젝트 이름: 예) 유튜브_브이로그_편집
- 저장 위치: D드라이브 > Video 폴더 등 지정
- 비디오 설정:
- 일반적으로 1920x1080 (Full HD), 30fps(유튜브 권장), 또는 60fps 선택 가능
- 오디오: 48kHz (표준)
📌 Tip: 처음에는 세세한 설정을 건드리지 말고 기본값 그대로 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2. 화면 구성 이해하기
Premiere Pro는 크게 4개의 패널로 나뉩니다.
- 프로젝트 패널: 내가 불러온 영상, 음악, 이미지가 보관되는 공간
- 소스 패널: 영상을 미리 확인하고 필요한 구간을 잘라낼 수 있음
- 타임라인 패널: 실제 편집 작업을 하는 곳 (영상·음악·자막을 배치)
- 프로그램 패널: 최종 결과물이 어떻게 보일지 미리보기 가능
📌 자주 쓰는 용어
- 시퀀스(Sequence) = 작업 공간 (하나의 영상 편집 프로젝트 단위)
- 트랙(Track) = 타임라인의 줄 (V1=영상, A1=오디오 등)
3. 영상 가져오기
- 파일 가져오기 (Import)
- Ctrl + I 또는 프로젝트 패널 더블클릭 → 영상, 사진, 음악 불러오기
- 가져온 파일을 타임라인 V1 트랙으로 끌어놓으면 자동으로 시퀀스가 생성됩니다.
- 만약 해상도/프레임이 달라도 걱정하지 마세요. Premiere가 자동으로 맞춰줍니다.
📌 실수 방지: 영상·사진 파일은 가능하면 같은 폴더에 모아두세요. (링크 끊김 방지)

4. 컷 편집 (필수 기본기)
영상 편집의 80%는 컷 편집입니다.
- 재생 헤드 위치 지정 → 잘라내고 싶은 위치에 놓기
- 레이저 도구(C) 선택 → 영상 자르기
- 불필요한 부분 선택 후 Delete 키
- 빈 공간은 우클릭 → Ripple Delete로 자동 이어 붙이기
📌 단축키 필수
- C: 자르기(Razor)
- V: 선택 도구
- Delete: 삭제
- Shift + Delete: 빈칸 자동 삭제 (리플 삭제)
5. 전환 효과 넣기 (컷과 컷 사이)
- 페이드 전환: 영상이 부드럽게 이어지도록
- [효과] 패널 → [비디오 전환] → [디졸브] → Cross Dissolve
- 두 영상 사이에 끌어놓기
📌 Tip: 전환 효과는 과하게 쓰지 말고, 중요한 부분 전환에만 사용하세요. (과하면 아마추어틱함)
6. 자막 넣기
- 텍스트 도구 (T) 선택 → 영상 화면 클릭 → 자막 입력
- [Essential Graphics 패널]에서 글씨체, 크기, 색상 변경 가능
- 자막 위치를 드래그해서 조정
- 타임라인에서 길이 조절 가능
📌 실무 팁
- 유튜브 자막은 보통 흰색 글씨 + 검은 테두리(Stroke)
- 대화형 자막은 아래쪽, 제목/중요 자막은 중앙 배치
7. 배경음악 / 효과음 넣기
- 음악 파일을 A1 트랙에 끌어놓기
- 필요 없는 부분 잘라내고, 소리 크기는 오디오 게인(G 키)으로 조절
- 대사와 겹칠 경우 Duck 기능(음악 자동 줄임) 사용
📌 실수 방지: 음량이 너무 크면 영상이 거슬립니다. 보통 -15dB~-20dB로 조정하세요.
8. 색보정 (Color Correction)
Premiere에는 Lumetri Color 패널이 있습니다.
- 노출 보정: 영상이 어두우면 Exposure +0.3 ~ +0.5
- 화이트 밸런스: 색이 푸르면 온도(Temperature) +10 정도
- 대비(Contrast): +10 ~ +20 주면 입체감 상승
📌 Tip: 초보자는 "프리셋 LUT"을 쓰는 것이 가장 쉽습니다. (예: Film Look, Cine 등)
9. 자주 쓰는 단축키 정리
기능단축키
잘라내기 | C |
선택도구 | V |
자막 | T |
삭제 | Delete |
리플 삭제 | Shift + Delete |
되돌리기 | Ctrl + Z |
내보내기 | Ctrl + M |
10. 완성 영상 내보내기 (Export)
- 내보내기 (Ctrl + M) 클릭
- 형식: H.264 (유튜브 기본)
- 프리셋: YouTube 1080p Full HD
- 출력 파일 이름 & 위치 지정
- [내보내기] 버튼 클릭
📌 실무 팁:
- 유튜브 업로드 시 1080p, 20Mbps 정도면 충분
- 틱톡/인스타용은 세로 1080x1920으로 설정
11. 초보자용 실전 프로젝트 예시
예: 유튜브 브이로그 영상 편집
- 인트로 클립 추가 (5초)
- 본문 영상 컷 편집 (불필요한 부분 제거)
- 장면 전환마다 Cross Dissolve 추가
- 배경음악 삽입 → 대사 부분은 볼륨 낮춤
- 자막 추가 (주요 멘트 강조)
- 색보정으로 영상 톤 통일
- 엔딩 화면 삽입 (구독·좋아요 멘트)
- 최종 내보내기 → 유튜브 업로드
12. 초보자가 자주 하는 실수
- 원본 영상 삭제 → 반드시 같은 폴더에 보관
- 자막을 너무 많이 넣음 → 시청자 피로도 증가
- 효과 과다 사용 → 영상 집중도 떨어짐
- 내보내기 설정 잘못 → 용량만 크고 화질은 별로
✅ 이렇게 하면, 완전 초보자라도 바로 실무 편집을 할 수 있습니다.
이제 “컷 편집 → 자막 → 음악 → 색보정 → 내보내기” 루틴만 익히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