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티스토리에 한국어로 글을 올리면, 구글에서 자동으로 영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 사람들이 모두 볼 수 있는가?
에 대한 질문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 핵심 결론:
부분적으로는 그렇습니다.
하지만 **"자동으로 영문으로 번역되어 전 세계 사람들이 본다"**는 것은 구글 검색 자체의 기능이 아니라, **사용자의 브라우저(특히 크롬)**가 제공하는 자동 번역 기능에 따라 달라집니다.
🔍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 티스토리 글 자체는 한국어로 작성되어 있음
- 구글 검색 엔진은 한국어 콘텐츠를 크롤링(수집)하고 인덱싱합니다.
- 영어로 자동 변환된 콘텐츠를 구글이 따로 저장하거나 노출하는 것은 아닙니다.
- 크롬 브라우저는 자동 번역 기능을 제공
- 해외 사용자가 크롬 브라우저로 티스토리 블로그에 접속하면,
- 브라우저가 자동으로 "이 페이지를 번역하시겠습니까?"라고 물어보고 영어로 번역해 보여줄 수 있습니다.
- 즉, 번역은 사용자의 브라우저가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것입니다.
- 검색 노출은 원문 기준
- 구글 검색 결과에 노출되는 내용은 여전히 한국어 원문 기준입니다.
- 다만 사용자가 영어로 검색할 경우, 구글은 자동 번역된 문서 일부를 기반으로 관련 콘텐츠를 영문 검색 결과에 제한적으로 노출할 수도 있습니다.
- 이 경우 정확도는 낮을 수 있습니다.
🌐 전 세계 사람이 보게 하려면?
다음 방법을 활용하면 해외 노출을 좀 더 적극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 포스팅 시 한국어+영어 병기(이중 언어)
- 예: 제목이나 본문에 영어 요약 포함하기
- 티스토리 설정에서 ‘언어’ 또는 SEO 관련 태그 최적화
- 영어 키워드 삽입
- 메타 태그나 설명에 영어 사용
- 구글 서치 콘솔에 블로그 등록하기
- 구글 검색 노출 최적화를 위해 꼭 권장
📌 요약
항목설명
자동 번역 | O (사용자의 브라우저가 번역) |
구글 검색에서 자동 영어 노출 | △ (일부 제한적으로 가능) |
전 세계 노출 보장 | X (번역/SEO 전략 필요) |
2.티스토리 블로그를 전 세계에 노출하는 방법
1. 개요
티스토리는 한국에서 운영되는 블로그 플랫폼이지만, 글로벌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노출하려는 경우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본 가이드는 티스토리 블로그를 구글 검색 및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 세계 사용자에게 노출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을 소개합니다.
2. 기본 설정 및 구조 최적화
2.1 티스토리 블로그 기본 설정
- 블로그 제목 및 설명: 영어 키워드를 포함하여 작성 (예: "Travel in Korea: Hidden Gems")
- 언어 설정: 티스토리에는 언어 설정 옵션이 없으므로, 제목/본문/태그에서 직접 조정해야 함
- 스킨 선택: 반응형(Responsive) 스킨 선택 (모바일/태블릿/PC 최적화)
2.2 카테고리와 URL 구조
- 카테고리명 영문 표기: 예) "맛집 리뷰" → "Food Reviews"
- **고정 URL(슬러그)**을 수동으로 설정하여 영문으로 작성: https://yourblog.tistory.com/korean-food-guide
3. 콘텐츠 전략
3.1 다국어 콘텐츠 작성
- 한국어+영어 병기 또는 영어 단독 포스트 작성
- 번역 도구 활용 시 DeepL, Google Translate 등을 사용하되, 문법/자연스러움 확인 필요
예시:
[한국어]
서울의 숨은 맛집을 소개합니다...
[English]
Here are some hidden restaurants in Seoul that only locals know about...
3.2 키워드 최적화 (SEO)
- 글 제목, 소제목(h2, h3), 본문, 이미지 Alt 태그에 영어 키워드 포함
- 예) "Korean BBQ", "Things to do in Seoul", "How to travel in Busan"
3.3 이미지 및 미디어 활용
- 사진에 영어로 된 설명 및 캡션 삽입
- 파일명도 의미 있는 영문으로 저장: gwangjang-market-food.jpg
4.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설정
4.1 구글 서치 콘솔 등록
- 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 접속
-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 입력 후 소유권 확인 (HTML 태그 방식 추천)
- 등록 완료 후 사이트맵 제출 (RSS로 대체 가능)
- 티스토리 RSS 주소 예시: https://yourblog.tistory.com/rss
4.2 메타 태그 설정
- HTML 편집 기능을 사용하여 <head> 태그 내 다음 코드 삽입
<meta name="description" content="Korean culture, food, travel guide in English">
<meta name="keywords" content="Korea Travel, Korean Food, Seoul Guide">
4.3 Robots.txt 설정
- 티스토리는 직접 수정 불가하지만, 구글봇이 접근 가능하게 기본 설정됨
4.4 구글 인덱싱 요청
- 글 게시 후, 서치콘솔에서 URL 검사 → '인덱싱 요청' 기능 사용
5. SNS 및 외부 유입 전략
5.1 다국적 SNS와 연계
- X(트위터), Facebook, Reddit, Pinterest, LinkedIn 등에 영문 요약과 함께 공유
- 관련 태그 및 커뮤니티 활용: 예) r/travel, #KoreaTrip, #KoreanFood
5.2 Medium, Quora, LinkedIn 블로그 활용
- 티스토리 본문 일부 요약하여 Medium 등에 올리고 원문 링크 삽입
- 영어 기반 플랫폼에서 역유입 발생 가능
5.3 유튜브와 병행
- 영어 자막 포함 유튜브 영상 + 티스토리 링크 삽입 → 시너지 효과 발생
6. 기타 팁
6.1 웹사이트 다국어 자동 번역 위젯 설치
- 외부 서비스(GTranslate, Google Website Translator) HTML 코드 삽입
- 코드 예시:
<div id="google_translate_element"></div>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googleTranslateElementInit() {
new google.translate.TranslateElement({pageLanguage: 'ko'}, 'google_translate_element');
}
</script>
<script src="//translate.google.com/translate_a/element.js?cb=googleTranslateElementInit"></script>
6.2 RSS 등록 사이트 활용
- Blogarama, Feedspot 등에 RSS 등록 → 영어권 방문자 유입 가능
6.3 댓글 및 메일 대응
- 영어로 문의가 오는 경우 간단한 대응 문구 준비: "Thank you for visiting my blog! Feel free to ask any questions."
7. 결론
티스토리 블로그를 글로벌로 확장하려면 단순히 한국어로 글을 쓰는 것을 넘어서 콘텐츠의 다국어화, 검색엔진 최적화, SNS 연계, 외부 플랫폼 활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전 세계 수많은 사용자에게 한국의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